KR:호오포노포노에서는 ‘과거의 인연이 있기 때문에 지금 이 현상이 일어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그 ‘인연’을 지우고 제로에서 관계를 시작하고 싶습니다. 이름이나 주소를 알고 있다면 면접 전에 그 사람과의 관계를 정화할 수 있겠죠.
...이어서 읽기

기회가 무엇이 되었더라도, 인생이라고 하는 단계에서
SITH호오포노포노와 만나 실천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저도 그렇고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들도 그러시겠죠.
문제를 겪을 때에 정화(클리닝)를 시작한다.
그것만으로는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사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들은 알지 못합니다.
더욱이 꿈에서 깨어나듯 정화(클리닝)를 할 때 마다,
우리는 신성한 존재의 눈과 귀를 통해, 감각과 마음을 통해 인생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예를들면, 표면의식으로는 지각하지 못하고있다 하더라도,
우니히피리는 점점 기억으로부터 해방되어갑니다.
호오포노포노 체험담은 모두 당신의 것 입니다.
모든 체험담을 통해 당신이 체험할 것은 신선한 존재의 숨결 그 자체입니다.
사실은 언제나 보호받고 있을 신성한 존재의 손을 만질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을 ‘원한다’는 기분은 대체 어디에서부터 오는 걸까요?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까지 우리들이 매일 마주하는 ‘원한다’는 기분은 대체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 호오포노포노에서는 기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어서 읽기
기자:우리 자신의 ‘불평등하게 취급되고 있다’는 사고 혹은 그 신념에서 생기는 반응을 정화하는 것이군요.
마하야나:맞아요. ‘유리천장’이란 사실은 아무것도 없는데 ‘가리고 있는 천장이 있다’며 꼼짝 못하게 되는 사고를 말합니다.
...이어서 읽기
호오포노포노란 고대 하와이에서 전해지던 문제해결방법입니다. 그것을 하와이의 인간문화재 故모르나 나라마크 시메오나 여사가 현대에 맞게 변용한 것이 ‘SITH(셀프 아이덴티티 스루) 호오포노포노’입니다. 호오포노포노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원인은 자신의 내면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어서 읽기
당신은 일어난 일이나 자신이 느끼고 있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일어난 일, 싫은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들에 관해 분석하거나 해석하려고 하다 패닉에 빠져 그 속에 헤엄치고 있는 것 같은 상태가 되거나 하지는 않은가요? 일어난 일 가운데 무언가 하나를 하고 있을 때 우리는 기억의 재생
...이어서 읽기
저도 제가족도 매우 행복합니다. 특히 아주 원만한 부부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종종 “부부가 사이가 좋아서 부러워요!”라는 이야기를 듣지만, 그건 제가 남편이 화를 내거나 불만을 느낄 때 계속해서 정화를 하는 결과입니다. 부부싸움을 하는 사람은 분노나 불만의 원인을 상대에게서 찾습니다. 이를테면 남편이 지저분하다며 화를 내고 ‘이거봐, 또
...이어서 읽기
이 영상 속의 강사인 메리 콜러씨는 자신이 수술을 받을 때 어떻게 정화를 실천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수술을 받을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된 순간부터 정화를 시작해, 수술하기 전, 수술하는 동안, 그리고 그 후에 정화를 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합니다. 수술을 정화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그것은 수술을 받는다는
...이어서 읽기
제가 호오포노포노를 알게 된 것은 1998년의 어느 날이었습니다. 제게는 7명의 아이가 있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전업주부로 살고 있었습니다. 육아에 전념하고 있었는데 가장 큰 걱정거리는 제일 아래의 쌍둥이들의 다툼이었습니다.8살의 쌍둥이는 언제나 다툼을 하였고, 저는 항상 짜증이 나있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고민하던 찰나에 호오포노포노를 만나게 된 것
...이어서 읽기
어떤 인간관계이던간에 거기에서 나누는 대화가 아무리 표면적이라고 해도 ‘우니히피리 끼리 전부 들리고 알고 있어’라고 말한 것은 고(故)이하레아카라 휴렌 박사였습니다. 아무리 치장을 해도, 상냥하게 말을 걸어도, 거기에 기대나 두려움, 통제와 같은 의도가 있다면 그것은 정화하는 것만이 그 관계성의 목적입니다. 자신 편한대로 ‘이렇게 해야한다’라고 하는 것에서
...이어서 읽기
오늘은 정화를 하기로 선택하는 새로운 하루입니다.모든 순간에 우리 안에 축적되어온 것들을 통해 정화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저는 자신의 사고(思考), 언어, 행위, 행동을 바라보고 반성하며 다시 한 번 평가하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나는 정화를 했는가?나는 정화를 할 수 있는가?나는 내려놓을 수 있는가?이 순간 나는
...이어서 읽기